케이패스 도입이 됩니다. 이제 내년 하반기부터 청년 직장인들의 출퇴근 교통비 부담이 줄어들겠습니다. 정말 기다렸습니다. 이것이 도입된다면 저소득층은 최대 53%까지 대중교통비를 할인받게 됩니다. 만약 이 글을 읽고 계시는 당신이 대중교통비에 부담이 되시거나 할인을 원하신다면 이 글을 꼭 읽어주세요.
케이패스는 2024년 7월부터 도입됩니다. 2024년 6월 알뜰교통카드가 폐지되고 이제 케이패스로 이용하실 것입니다. 오늘은 이 대중교통을 할인받을 수 있는 케이패스(K-Pass)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케이패스 도입
K-pass는 무엇인가요?
케이패스는 2019년에 도입된 알뜰교통카드를 보완하고, 혜택을 풍부하게 확대한 새로운 대중교통 요금 할인 제도입니다. 케이패스는 지하철, 버스의 통합 정기권입니다.
케이패스를 이용하면 지하철, 버스 등 대중교통을 월 21회 이용할 경우 월 60회 지원 한도 내에서 연간 최대 21만 6천 원을 환급을 해준다고 합니다.
특히, 청년과 저소득층에 대한 환급은 더욱 크다고 합니다. 청년은 연간 32만 4,000원, 저소득층은 연간 57만 6,000원이 환급된다고 합니다.
K-pass 달라진 점
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최소 이용 회수가 21회인 점입니다. 알뜰교통카드는 최대 15회였습니다. 이렇게 달라진 이유는 고빈도 이용자를 우대하기 위해서입니다. 또 대중교통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입니다.
K-Pass | |
이동거리 요건 | 없음 (편리성 개선) |
최소이용 횟수 | 21회 |
지원 방식 | 정률 (교통비 인상 부담 완화) |
지원 규모
케이패스의 할인율은 현재 알뜰교통카드 할인율보다 훨씬 높아졌습니다. 지원 규모가 커져서 직장인들이 교통비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.
K-Pass | |
일반 | 300원/회 (20%할인) |
청년 | 450원/회 (30%할인) |
저소득층 | 800원/회 (53%할인) |
결론
케이패스의 도입으로 이제는 이전에 알뜰교통카드의 이동 거리 요건이 폐지됩니다. 그리고 별도 앱의 설치 없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. 그리고 이동 거리에 따른 할인이 사라지고 대중교통 이용 횟수에 비례한 요금 할인이 적용 되어 정산 관련 불편함도 해소될 것입니다.
항상 저는 이동 거리에 따라 정산하는 게 너무 불편했는데 이제서야 개선이 되어 기분이 좋네요.
케이패스는 알뜰교통카드와 비교했을 때 1년에 3만 6,000원에서 7만 2,000원 정도 추가 할인을 받게 됩니다. 직장인들에게 최고의 제도이지 않을까 싶습니다. 하단은 케이패스 도입 기사 링크입니다.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참고해 보세요!
*함께보면 좋은 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