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레드 가입 설치 및 기능 용어정리 알아보자! (feat.쓰레드)

스레드 가입 설치 및 기능 용어정리 알아보자! (feat.쓰레드)

최근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META가 스레드라는 앱을 출시했습니다. 출시날 스레드 가입자가 3,000만 명을 돌파했다고 하는데요. 스레드는 테슬라의 CEO 일론머스크가 인수한 트위터의 대항마라고도 불리는데요. 오늘은 이 스레드 애플리케이션의 가입과 설치, 그리고 기능을 알아보고 추가로 스레드에서 현재 통용되는 용어정리도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 

 

스레드 로고

 

스레드(Threads)?

스레드는 메타(META)가 출시한 텍스트 기반 SNS입니다. 트위터와 비슷하게 텍스트 기반으로 소통하고, 글자 수 제한이 있어 짧은 메시지들을 한 메시지에 답글을 줄줄이 달아 타래를 구성하는 형식의 SNS입니다. 즉, 메타가 만든 트위터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. 

인스타그램이 사진과 영상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세상과 연결하는 공간으로 생각하시면 되고, 이 스레드는 그 연결의 매개체를 텍스트로 확산시킨 플랫폼이라고 합니다.

*스레드가 공식 표기이지만 한국 유저들에게는 ‘쓰레드’로 통용되고 있음. 여기선 스레드라고 말하겠습니다.

스레드 가입 및 설치하는 방법

가입 및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 가입은 인스타그램에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. 그래야 스레드 앱과 연동이 되어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. (별도의 스레드 가입 절차는 없습니다.) 스레드 설치하는 방법은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에 들어가 ‘스레드’라고 타이핑합니다. 하단의 스레드 로고가 보이면 다운을 받아 줍니다. 그리고 열기를 눌러 스레드를 시작하면 되겠습니다.

 

스레드 앱 가입 설치

스레드 앱 가입 설치2

 

스레드 특징

1.인스타그램 계정으로 스레드 바로 가입 가능
2.인스타그램 팔로우 계정을 스레드에서 바로 팔로우 가능
3.팔로우한 게시글만 표시하는 기능이 없습니다.
피드를 새로고침 시 알고리즘에 따른 추천 게시물이 랜덤으로 표시가 됩니다. 

*그에 따라 원하는 사람들의 글만 보는 리스트 기능도 없습니다.
4.해시태그 등 검색 기능이 없습니다. 계정 검색 기능만 있어 키워드 검색이 불가능합니다. *실시간 트렌드 기능도 없습니다.
5.DM으로 불리는 개인 메시지 기능이 없습니다.
*트위터나, 인스타그램은 개인 메시지로 악용하는 사람들이 있던데 괜찮네요.
6.한 게시물당 500자까지 지원됩니다.
7.외부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가 지원되며 동영상은 최대 5분 길이까지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.
8.인스타그램의 파란색 뱃지 표시(공식 인증)가 스레드에 이식된다.
9.비교적 자유로운 트위터와는 다르게 음란물과 폭력성 게시물에 엄격한 가이드라인이 적용된다.
10.사진은 10장까지 올릴 수 있습니다. 인스타와 동일한 개수입니다. 해상도는 인스타와 비슷하게 올라갑니다. *트위터는 4장이 제한
11.리트윗과 같은 재투고 기능과 인용 리트윗과 같은 인용 기능이 있습니다.
*단, 인용 리트윗을 해도 한 대상이 표시되지 않습니다.
12.사진 비율에 제한이 없습니다.
13.동영상 편집을 제공하지 않습니다.
14.좋아요 수를 숨길 수 있습니다.

 

스레드 작동 방식

스레드 작동 방식

 

스레드 용어정리

쓰팔 : 쓰레드 팔로우
쓰팔완 : 쓰레드 팔로우 완료
쓰레고침 : 쓰레드 새로고침
쓰라클모닝 : 쓰레드 굿모닝
쓰님 / 스님 : 쓰팔은 했지만 어색한 사이
쓰팔놈 : 쓰팔하고 친한 사이
쓰린이 : 쓰레드에 입문한지 얼마 안 된 사람
쓰인물 : 쓰레드에 이미 적응한 사람
쓰팔 취했냐 : 쓰레드 팔로우 취소했냐
쓰레기 : 쓰레드하면서 기분 좋다는 뜻
쓰미마셍 : 미안하다는 뚯
쓰리가또 : 고맙다는 뜻
쓰고이 : 재밌는 쓰레드를 봤을 때
쓰팸 : 쓰레드 차단
쓰며들다 : 나도 모르게 쓰레드에 적응함
쓰레빠 : 쓰레드에 빠져든다는 뜻
쓰토커 : 좋아요만 누르고 도망가는 사람
쓰플루언서 : 쓰레드 인플루언서
쓰하 / 쓰바 : 쓰레드 하이, 바이
쓰트레스 : 쓰레드 하느라 잠을 못 잠
쓰담쓰담 : 쓰레드에 쓸 짤을 주움
 

마치며

현재 스레드는 위에 말씀드린 특징으로 트위터에 비해 팔로우한 게시글만 보기 힘듭니다. 그렇기에 자신의 글이 묻히기 쉽고 또 트렌드가 없고 관심 있는 팔로워의 글과 추천글 밖에 볼 수 없습니다. 그래서 남의 이야기나 특정 이슈에 대해 주목도나 논란이 확산되는 트위터와 달리 인스타처럼 취미적인 글이나 잡다한 글들이 많이 올라오고 있는 추세입니다.

과연 스레드는 트위터를 추격하고 넘어설 수 있을까요?
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